광주트라우마센터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Gwangju Trauma Center
광주트라우마센터 발행자료 신청 절차 및 활용 안내
센터 메일로 <발행자료 열람 신청서> 작성하여 전송
traumagwangju@gmail.com
담당부서(담당자) 확인
센터 내부 심의
회신 공문 및 자료발송
센터 담당자 → 신청기관/신청자
자료 신청 공문 발송
신청기관/신청자 → 센터 담당자
자료 신청 공문 발송 요청(유선)
2022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 폭력과 트라우마 팬데믹-국가폭력 피해자의 과거와...
2022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 폭력과 트라우마 팬데믹-국가폭력 피해자의 과거와 현재(사례 중심으로)1. 기조발제 : 국가폭력과 '불평등' 트라우마 : 5·18민주화운동 피해자 사례를 중심으로 (김형주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교수)2. 광주고려인마을 우크라이나 탈출 고려인 동포 지원현황 (박빅토리아 광주고려인마을 청소년문화센터 교사)3. 함평양민 집단학살 실태 (정근욱 함평사건 유족회장)4. 아무도 돌보지 않는 그들만의 트라우마-미얀마 사회에 짙게 드리운 집단 트라우마 (황정아 (사)아시아여성네트워크 대표)5.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헤본디얀 크리스티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2021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공간 조성방안
1. [기조발제] 국립 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치유의 공간과 새로운 공동체를 위하여 - 한홍구(성공회대)2. [발제] 국가폭력 생존자의 회복 촉진 환경 - 최현정(충북대)3. [발제] 회복과 성장을 위한 치유적 심리공간 - 서영석(연세대)4. [발제] 39년 동안의 고문 및 조직범죄 생존자 치유 - 덴마크 고문대연구소 디그니티 경험을 중심으로 - Marie Høgh Thøgersen(덴마크 고문반대연구소 디그니티)5. [토론] 보다 나은 트라우마 치유환경을 위하여 - 최정기(전남대)6. [토론] - 이동기(강원대)
2020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국가폭력, 트라우마 그리고 치유적 관점에서 이행기...
1. 문화적 트라우마의 전승과 의례적 매개: 제주 4.3항쟁과 학살의 포스트기억-김성례2. 전환기 정의 구현에 관한 참여 민주주의와 공존의 기억: 조국의 '수동적 희생자'로부터 '적극적 수호자'로 변신하게 되는 대만의 1952년 루쿠사건의 재조명-팡롱 쉬3. 메이리다오 사건과 타이완 정치 발전의 전환점-화위완 쉐4. 제국의 그림자: 대만 1947년 2월 28일 사건의 '외국인 피해자' 및 정의와 화해를 향한 여정-요시히사 아마에5. 멕시코 야요치나파 43명 실종사건의 진실과 그 의미-노용석6. 전환기 벽 허물기: 분단과 재통일된 베를린에서의 비장소, 재기억-도린 버내스7. 그리스 내전으로부터의 목소리들-스타브룰라 치로기아니8. 이행기 정의에 있어서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치유-한구그이 5.18민주화운동과 광주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명지원9. 이행기 정의 맥락에서의 피해자 재활-리사 헨리10. 이행기 정의의 실현에서의 사죄의 문제: 가상적 사죄 조형물과 이에 대한 혼내주기 퍼포먼스를 중심으로-정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