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동체 치유

꿈작업 워크숍

‘꿈에서 길을 찾다’

악몽, 가위눌림 등 수면장애를 완화하고 꿈이 주는 메시지를 통해 외상 경험을 삶에 통합합니다.

대리외상 및 소진예방 프로그램

‘아프지 않게 함께 돌봄’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의 대리외상을 예방하고 자기 돌봄 능력을 향상합니다.

오월심리치유이동센터

‘거리에서 만나는 오월증후군’

5·18민주화운동을 경험한 사람들의 오월증후군을 평가하고 국가폭력 트라우마 고위험군은 센터로 연계, 치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치유의 인문학

‘치유의 힘은 공동체에’

시민의 인권 감수성, 인문학적 소양을 증진하고 광주 시민들의 집단 트라우마를 치유합니다.

치유의 인문학 더보기

<그라지라> 발행

‘우리의 이야기에서 모두의 이야기로’

국가폭력과 생존자 치유를 주제로 담론을 형성하고 센터의 활동을 전국 시민들에게 홍보해 국가폭력 치유의 사회적 지지 기반을 강화합니다.

그라지라 보러가기

자원활동가

‘함께 걷는 거래요, 치유’

센터 활동의 공공성을 높이고 지역민과 센터의 상호역량을 강화하며 보다 안전한 사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자원활동가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모집
매년 3월
대상
국가폭력 생존자의 일상 회복을 위한 발걸음에 함께 하실 분
인권, 민주주의 증진에 관심 있는 분
활동내용
치유재활 프로그램, 증언치유 마이데이
치유의 인문학,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국제회의, 치유·인권 자료실
국제인턴 교류 프로그램
소셜미디어 콘텐츠 제작

국제인턴

‘경계를 넘어서’

국제적 인권감수성 증진, 치유 효과성 향상, 국제 치유 기관으로 인력 운영의 경험을 축적을 위해 국제인턴을 매년 2회(상반기, 하반기) 운영합니다.
  • 광주트라우마센터는 국가폭력생존자와 그 가족을 위한 치유기관입니다.

    상담전화 062-601-1980

    월~금 09:00~18:00 | 점심시간 12:00~13:00

  • E-MAIL

    traumagwangju@gmail.com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자료관리 담당자  김영지연락처 : 062-601-1984

사용자 만족도 조사
상단으로 하단으로